본문 바로가기

분류 전체보기203

[백준/파이썬] 2908번 상수 | 슬라이싱 이용 - 문자열 뒤집기 a, b = input().split()# 슬라이싱 이용reversed_a = a[::-1]reversed_b = b[::-1]print(max(reversed_a, reversed_b)) 2025. 5. 7.
[백준/파이썬] 1152번 단어의 개수 | 공백 기준으로 단어수 세기 s = input()count = len(s.split())print(count) 2025. 5. 7.
[백준/파이썬] 2675번 문자열 반복 * input()은 항상 문자열 반환 1. 문자열 특성을 이용한 방법t = int(input())for _ in range(t): r, s = input().split() # 둘 다 문자열로 들어감 res = '' for i in range(len(s)): res += s[i]*int(r) print(res) 2. 비효율적인 방법t = int(input())for _ in range(t): r, s = input().split() r = int(r) s = list(s) for i in range(len(s)): for x in range(r): print(s[i], end='') print() 2025. 5. 7.
[백준/파이썬] 10809번 알파벳 찾기 | find() - str의 함수 1. for문 이용s = list(input())alphabet = 'abcdefghijklmnopqrstuvwxyz'for i in alphabet: if i in s: print(s.index(i), end=' ') else: print(-1, end=' ') 2. find()함수 이용 - list에는 적용하지 못하는 str함수이다.s = str(input())alphabet = 'abcdefghijklmnopqrstuvwxyz'for i in alphabet: print(s.find(i), end=' ') 2025. 5. 7.
[백준/파이썬] 11654번 아스키 코드 | ord(), chr() 함수 ord()문자의 아스키 코드 값을 반환한다.chr()아스키 코드 값을 문자로 반환한다.*ordinal : 서수 -> 아스키코드 숫자로 바꾼다.a = input()print(ord(a)) 2025. 5. 2.
[백준/파이썬] 9086번 문자열 | slicing - 맨 끝의 문자를 출력할 때는 s[-1]을 이용한다.# 문자열t = int(input())for _ in range(t): s = str(input()) print(s[0], s[-1], sep='')# s[len(s)-1]가 아니라 맨 끝은 s[-1]이용!! 2025. 5. 2.